본문 바로가기

성악 노래 공부

오페라 나비부인 줄거리/ 오페라 나비부인 극 탄생배경/ 오리엔탈리즘과 관련하여..

안녕하세요 양도비입니다🐑

저는 성악전공을 하는 대학생입니다:)


과제를 위해 나비부인오페라를 관람하고 나서

레포트를 쓴 내용 중 일부입니다~



나비부인 오페라를 감상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글 올려봅니다 ㅎㅎ




출처: 포토뉴스





논문과 인터넷자료들을 보면서 공부한 내용이라 살짝 다른 부분도 있을 것 같아 유의하셔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나비부인 오페라 극 탄생 배경 ]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은 존 루터 롱(John Luther Long, 1861-1927)의 소설을 벨라스코(Belasco. D, 1859-1931)가 희곡으로 개편한 것을 원본으로 삼고 있다. 롱이 실질적으로 일본을 방문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배경으로 한 소설을 창작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피에르 로티(Pierre Loti, 1850-1923)의 소설<국화부인>(Madame Chrysanthème, 1887)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존재한다. 로티의 소설의 내용은 한 프랑스 장교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방문한 일본 나가사키 항구에서 한 일본 여성의 외모에 이끌려 결혼을 하지만 곧 그녀를 향한 관심을 잃고 몇 푼의 돈을 쥐어준 채 홀로 자신의 고국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으로, 롱은이 소설의 전반적인 줄거리와 일본에 대한 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벨라스코가 미국에서 롱의 소설을 희곡화하면서 뉴욕과 런던에서 연극이 대성공을 거두게 되었는데, 밀라노로 돌아와 지금까지 자신의 오페라 중 성공작의 대본을 도맡아 왔던 주세페 자코자(Giuseppe Giacosa, 1847-1906)와 루이지 일리카(Luigi Illica, 1857-1919)에게 대본을 부탁하게 된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제가 쓴 레포트 보시면 좋을것같아요!

(오페라를 본 동기/푸치니가 여성을 소재로 오페라를 많이 쓰는 이유/ 나비부인오페라 악기편성/캐릭터 특징 분석/ 등등)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26619754/

나비부인오페라레포트/오페라를 본동기/오페라탄생배경/줄거리/캐릭터특성.특징/일본을상징하

[ 느낀점 ] 서곡이 주는 긴장감과 무슨일이 벌어질것같은 선율이 미래의 사건을 먼저 복선해주는느낌이 들었고, 오페라의 시작이 압도하는 분위기를 주어서 좋았다. 수지오페라단에서는 일본의

www.happycampus.com


나비부인오페라레포트/오페라를 본동기/오페라탄생배경/줄거리/캐릭터특성.특징/일본을상징하는소품/푸치니생애및음악/ 레포트



[ 느낀점 ] 서곡이 주는 긴장감과 무슨일이 벌어질것같은 선율이 미래의 사건을 먼저 복선해주는느낌이 들었고, 오페라의 시작이 압도하는 분위기를 주어서 좋았다. 수지오페라단에서는 일본의 무대의상을 붉은 느낌의 계열과 머리침으로만 일본의상을 나타내였는데, 일본의 특유의 문항이 보였더라면 오페라의 퀄리티가 더 올라갔었을거같다. 대신 가부키화장법에만 더 신경을쓴 느낌이 들었다. 무대미술에는 큰 폐모양의 돌덩이를 사용했는데 초초상의 나비같은 영혼을 나타내었다고 한다. 의도를 가지고 미술작품에 의미를 부여해서 해놓으니까 오페라의 깊이가 더 ....






[줄거리]

일본의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여주인공 초초상은 가문의 몰락으로 15살에 게이샤가 됩니다.초초상은 나가사키에 잠시 주둔하게 된 미군 해군 중위핀 커튼의 현지처가 됩니다.미군이 일본 내에 잠시 머물다 미국으로 돌아가 미국 여자와 결혼할 생각이지만 초초상은 동거를 하면서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떳떳하고자정식 결혼을 원합니다. 초초상은 남편을 따라 일본의 종교인 불교를 버리고기독교로 개종까지 합니다. 그러나 핀 커튼은 초초상을 현지처로만 가볍게 생각하고 미국으로 떠납니다 울새가 둥지를 틀 때 돌아온다고떠난 핀 커튼은 둥지를 세 번이나 틀어도 오지 않고 초초상은 매일 나가사키 항을 보며 남편이 타고 간 배가 오기를 기다리며 금발의 아들을 키웁니다. 어느 맑게 갠 날 아침 핀 커튼이 돌아오고 초초상을 꽃단장을 하고 남편을 맞이하지만 남편은 미국에서 결혼한 여자와 아이를 데려가겠다며 찾아옵니다.초초상은 모든 것이 끝났음을 직감하고 금발의 아들을 줍니다.그 와의 사랑이 끝나자 아버지의 유물인 단도를 꺼내 자결합니다







[ 나비부인에서의 오리엔탈리즘 ]

나비의 개념: 나비는 서양남성이 소유하기를 열망하는 섬세하고 약한 물체를 상징화한다. ‘나비’라는 말에는 연약하고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주장하기 보다는 상대방이 다루는 대로 수동적으로 존재하며 자신의 운명은 나비를 잡은 사람의 손에 달려 있다는 의미가 포함된다. 핀커톤의 이 말은 백인남성이 동양에서 여자를 찾아내어 그 여자를 원하기만 하면 즉각 그에게 복종할 것이라는 그들의 의식 속에 동양 여성은 인격체로 존재하지 못하고 오로지 백인남성의 쾌락을 위해서 존재하게 되는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출처:G. Puccini 오페라에 등장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요소에 관한 연구 : 오페라 <나비 부인>(Madama Butterfly)과 <투란도트>(Turandot)를 중심으로,단국대학교 대학원,주양,2020.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 마칩니다


양도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감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